![]() ▲ 월성원전 전경 사진/인터넷언론인연대 김은경 © 인디포커스 |
[인디포커스/김은해]인체 유전자 변이를 초래하는 위험한 물질, 월성 원전 방사능검출과 관련 정치권, 환경단체가 빠른 조치와 함께, 국민들이 안전할 수 있도록 조사 결과에 대해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7일 ⌜포항MBC⌟는 한수원 자체 조사 결과를 근거로 “월성원전 부지가 광범위한 방사능 오염에 노출됐을 수 있다”면서 “월성원전 부지 지하수 배수로에서 최대 71만 3천 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는데 누출 원인도 찾지 못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런 내용이 알려지자 환경운동연합은 “민관합동 차원의 조사단을 꾸려 원인규명에 나서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유출이 확인된 이상 먼저 빠른 조치를 취한 후 정확하게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위해 민간합동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출이 확인된 이상 먼저 빠른 조치를 취한 후 정확하게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재형 감사원장은 충격적인 방사능 누출로 인한 국민 안전은 뒤로하고 경제성 타령만 해왔다”고 비판했다.
12일 열린 월성 1호 경제성평가 핵심쟁점 토론에서 정세은 충남대학교 교수는 “경제성에 문제가 있으면 조기 폐쇄 결정이 타당하지 않다는 프레임으로 국회가 감사를 요구한 자체가 잘못된 일”이라며 “이번 감사원 감사는 국정과제 이행을 심각하게 왜곡시키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원전 중지 사태에 따른 감사원 감사를 토대로 검찰 조사가 이뤄졌고, 공무원이 구속된 가운데 방사능 누출변수가 생기므로, 국민의 안전은 뒷전, 경재성만 따졌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한편, 청원인은 지난 11일 청와대 청원을 통해 “월성원전 부지 10여 곳 지하수에서 방사능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됐다”라고 글을 시작했다.
이어, “삼중수소는 인체에서 내부 피폭을 일으켜 유전자 변이를 초래하는 위험한 물질이다 원전 구조상 방사성 물질은 안전을 위해 완전히 밀폐, 격리돼 지정된 설비를 제외하고는 검출돼서는 안 되는 물질이다” 또한 “차수막이 8년 전 파손된채 방치된 것으로 드러나 부실 관리되었다”는 내용을 올렸다.
그러면서 청원인은 “제발 일본꼴 나지 않게 국민의 안전을 지켜달라”고 덧붙였다.